CHONNAM NATIONAL UNIVERSITY Forest Resources Research Center

교육과정안내

나무의사 양성과정

나무의사 양성과정

교육과정안내

나무의사 제도란?

  • 국가기술 전문자격을 갖춘 나무의사가 현장을 방문하여 수목의 상태를 정확히 진단하고 올바른 수목치료 방법을 제시(처방전 발급)하는 제도
  • (처방전에 따라 수목을 진료하여 전문화된 수목진료 체계를 구축)
  • "나무의사"란 수목진료를 담당하는 사람으로서 나무의사 자격증을 발급받은 사람을 말한다

나무의사 양성과정

필수과목(130시간)을 포함하여 총 150시간 이상의 교육을 수강한 경우에만 교육을 이수한 것으로 한다. 교과목별 교육시간의 80% 이상 출석한 경우에만 교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한다.
2023년 6월 27일 까지는 2018년 6월 27일 이전에 자격을 취득한 자에 한하여 수목보호기술자는 수목생리학, 수목병리학, 수목해충학을 식물보호기사. 산업기사는 농약학을, 문화재수리기술자(식물보호)는 수목생리학, 토양학을 이수한 것으로 한다.

교육과정 신청 방법

인터넷 신청 바로가기
[서식1] 교육신청서, [서식2] 개인정보 활용 동의서, [서식3]비대면 강의동의서를 cnutreedoctor@naver.com으로 전송
모든 서류는 직접 서명하여 스캔본으로 전송(스캔한 도장, 싸인 첨부 인정 되지 않음)
서류 접수 및 수강료 입금이 모두 확인 된 후 수강확정이 진행되며, 수강료 반환은 평생교육법에 준함.
나무의사/수목치료기술자 양성과정 문의 :? 062-530-0778

교육비 반환 규정

평생교육법 시행령 제23조 제2항 의거해 반환
구분 반환사유 발생일 반환금액
제23조 제2항 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반환사유의 경우 수업을 할 수 없거나, 수업 장소를 제공할 수 없게 된 날 이미 낸 학습비를 일할 계산한 금액
제23조 제2항 제3호의 반환사유에 따른 경우 학습비 징수기간이 1개월 이내인 경우 수업시작 전 이미 낸 학습비 전액
총 수업시간의 1/3이 지나기 전 이미 낸 학습비의 2/3 해당액
총 수업시간의 1/2이 지나기 전 이미 낸 학습비의 1/2 해당액
총수업시간의 1/2이 지나기 후 반환하지 아니함
학습비 징수기간이 1개월을 초과하는 경우 수업시작 전 이미 낸 학습비 전액
수업시작 후 반환사유가 발생한 그 달의 반환 대상 학습비 (학습비 징수기간이 1개월 이내인 경우에 준하여 산출된 학습비를 말한다)와 나머지 달의 학습비 전액을 합산한 금액
비고 총 수업시간은 학습비 징수기간 중의 총 수업시간을 말하며, 반환금액의 신청은 반환사유가 발생한 날까지 경과된 수업시간을 기준으로 한다.
폐강시 전액 반환
수강취소시 개강 전 전액 반환
개강 후 학습비반환기준에 근거하여 학습비를 차감한 후 반환함(※수강신청 시점과는 관계없이 개강일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차감한 후 반환함)
신청방법 방문 신청 : 수강취소원 제출 ※수강취소원은 별첨
지급기간 반환신청을 한 날로부터 5일이내 반환됨
유의사항 - 학습비반환기준에 근거하여 학습비 반환 계산방법에 의해 일정금액을 차감한 후 반환됩니다.
- 본인의 수강신청 시점과는 관계없이 개강일을 기준으로 계산하여 반환됩니다.

코로나 대비

코로나 19사태의 장기화에 따라 수강생과 강사, 교육기관의 보건안전을 위해 이론 강의에 한하여 실시간 비대면 강의를 진행 (‘Zoom’을 이용한 화상강의)
‘Zoom’을 통한 화상강의는 강사와 수강생간 상호 화면 송출형태이며 송출된 화면을 통해 산림자원연구센터에서 출결 확인진행(모니터링)
실습강의에 대한 대면강의시 ①마스크 착용 확인, ②손소독제 도포, ③체온측정, ④문진표 작성 후 강의실 입장

나무의사 양성과정 편성표

분야 교과목 강사명 교육내용 시간 구분
강의 실습 필수 선택
수목분류 수목학 유한춘 수목의 종류 및 동정, 수목의 조직 및 기관의 구조와 기능 12 4
생리 · 생태 수목생리학 이계한 수목의 번식, 생육 중 빛, 온도, 수분 등 외부 환경의 영향과 체내 반응 10 2
산림생태학 김종영 산림 및 산림 내 수목과 다른 생물 및 물리 · 화학적 요인들과의 관계 8 2
토양 토양학 김현준 토양의 구조와 기능, 토양조사, 토양 진단 및 개량, 비료의 종류 및 사용, 수목영양 진단 12 4
피해관리 수목병리학 김진철, 박애란 병원체의 종류 및 특성, 주요 수목병의 발생 특성, 진단 및 방제 15 4
수목해충학 김익수, 노미영, 김민지 곤충의 종류 및 특성, 주요 수목해충 발생 특성, 진단 및 방제법 15 4
비생물적 피해론 유성호 비생물적 피해의 종류 및 발생특성, 진단 및 조치 12 4
수목관리학 김종영 수목선정 및 식재, 충전, 쇠조임, 가지치기 등 유지관리, 위험수목 관리 및 제거, 외과수술, 체인톱 등 산림기계 사용법 12 4
농약 농약학 김인선, 이장훈, 농약의 작용기작 및 종류와 사용법 10 2
기상 산림기상학 조재일 기상자료 판독, 기상측정 기구 및 사용법, 기후변화 및 이상기상현상의 이해 8 2
정책 및 법규 정책 및 법규 안기완 산림보호정책, 수목진료 관련 법규, 외국의 관련 제도 및 법규 4
소양교육 팀빌딩과 갈등관리 최은숙 팀빌딩과 갈등관리 4
수목병해의진단과처방 이성식 수목병해의진단과처방 4
수목진료종합토론및수료 이계한 수목진료종합토론및수료 2
14과목 126 34 130 30